HTML·CSS/HTML·CSS7 mix-blend-mode 참조 :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CSS/mix-blend-mode mix-blend-mode mix-blend-mode CSS 속성은 어느 요소의 콘텐츠가 자신의 배경 및 부모와 어떻게 혼합되어야 하는지 지정합니다. developer.mozilla.org ■ 포토샵의 블렌딩 모드를 가져왔다고 보면됨. 2020. 3. 27. .clearfix float 속성에 따라 포지션이 망가지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 주로 :after 가상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됨.(혹은 befrore) 즉 float 속성을 사용한 개체 뒤에 clear:both를 사용하여, float 속성을 초기화 하는 방식. ex) div:after {content:''; display:block; clear:both;} - 아니면 그냥 flex를 쓰던가. 참조 : https://takeuu.tistory.com/60 2020. 3. 27. metaviewport .... 위 소스를 해석하면 사용자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웹페이지의 너비를 기기 화면 너비에 맞추고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확대/축소를 불가능하게 하고 처음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, 초기, 최소, 최대 화면의 배율을 설정하지 못하게 막는 코드입니다. 즉,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손가락으로 아무리 작게 하려고 해도 안되는 이유가 이것입니다. ※ content에 여러 속성값을 쓸 때 쉼표로 분리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. width=device-width 사용자가 접속한 기기 화면의 넓이에 따라 웹사이트의 넓이를 맞추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따라서 device-width는 100%의 크기로 화면에 출력됩니다. user-scalable=no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확대/축소를 불가능하게 하는 기능입니다. yes와.. 2020. 3. 26. srcset 참조 :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Learn/HTML/Multimedia_and_embedding/Responsive_images 2020. 3. 26. <em></em> 요소는 텍스트의 강세를 나타냅니다. 요소를 중첩하면 더 큰 강세를 뜻하게 됩니다. 2020. 3. 26. display : initial initial 키워드는 속성의 초깃값(기본값)을 요소에 적용합니다. 초깃값은 브라우저가 지정합니다. 모든 속성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, all에 지정할 경우 모든 CSS 속성을 초깃값으로 재설정합니다. 참조 :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CSS/initial 2020. 3. 26. figure ■ figure : 독립적인 콘텐츠를 표현합니다. 사용해 설명을 붙일 수 있습니다. 피규어, 설명, 콘텐츠는 하나의 단위로 참조됩니다. 이미지 밑에 설명을 붙일 때 주로 사용 참조 :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Element/figure 2020. 3. 26. 이전 1 다음